고양시, 자족도시 실현을 위한 투자유치사업 지속 추진
상태바
고양시, 자족도시 실현을 위한 투자유치사업 지속 추진
  • 김영민 기자
  • 승인 2024.06.28 18: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에 제외
"도시 규모에 걸맞는 산업시설·자족기능 확보 위해 계속 도전하겠다"
고양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에 실패했다. 시는 그러나 자족도시 실현을 위한 투자유치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copyright 데일리중앙
고양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에 실패했다. 시는 그러나 자족도시 실현을 위한 투자유치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김영민 기자] 고양시는 지난해 10월 착공한 일산테크노밸리 활성화를 위해 그간 야심차게 추진해 온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에 고배를 마셨다고 28일 밝혔다.

시는 그러나 자족도시 실현을 위한 투자 유치 사업은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고양시는 올해 말 토지 공급이 예정된 일산테크노밸리의 입주 기업 다양성 확보와 용지 분양성 제고를 위해 지난해 12월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분야의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신청했다. 총 5348억원에 달하는 43개 기업의 투자 의향을 확보하는 등 유치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양시는 지난 27일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에서 제외됐다.

이번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발표에서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분야로 선정된 지역은 단 한 곳도 없다. 

선정된 인천·경기(시흥), 대전(유성), 강원(춘천·홍천), 전남(화순), 경북(안동·포항) 5개 지역 모두 바이오 의약품 분야다. 

현재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분야가 연구개발(R&D)에 치중해 있고 국내 생산 기반과 산업 생태계가 약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양시는 향후 있을 수 있는 오가노이드 분야 추가 공모에 선제적으로 대응·준비하고 암-오가노이드 기술 분야의 기반 구축을 위해 국립암센터 등 관내 6개 대형병원과의 협업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그동안 확보된 오가노이드 분야 기업의 입주·투자 의향이 실제 입주·투자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현재 적립된 470억원의 투자유치기금을 활용해 입지·고용·교육훈련 보조금을 지원하고 바이오 콤플렉스 건립 등을 통해 기업의 안착을 적극적으로 돕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신규 국가첨단전략기술로 검토하고 있는 미래차·로봇·방산 등의 분야에도 시의 지정가능성 및 차별성 등을 면밀히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

최영수 고양시 자족도시실현국장은 "우리시는 작년 반도체 분야에 이어 이번 바이오 분야까지 두 번의 뼈아픈 실패를 경험했지만 그간의 노력을 통해 고양시의 산업육성 방향과 잠재력 등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최 국장은 "현재 추진 중인 경제자유구역뿐만 아니라 신규 지정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기회발전특구, 평화경제특구에도 지속적으로 도전헤 도시규모에 걸맞은 산업시설과 자족기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김영민 기자 shyeo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