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춤을 무대화한 서울경기춤연구회 '묵은 조선의 새 향기' 공연
상태바
조선의 춤을 무대화한 서울경기춤연구회 '묵은 조선의 새 향기' 공연
  • 이지연 기자
  • 승인 2024.06.13 10: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월 11일 저녁 7시 30분 서울 남산국악당에서 열려
1938년 한성준의 공연 기록을 근간으로 재연 무대
조선의 춤을 무대화한 서울경기춤연구회 '묵은 조선의 새 향기'가 지난 11일 저녁 7시 30분 서울 남산국악당에서 공연됐다. '서울무당춤'(위)과 '급제무'(아래). (사진=서울경기춤연구회)copyright 데일리중앙
조선의 춤을 무대화한 서울경기춤연구회 '묵은 조선의 새 향기'가 지난 11일 저녁 7시 30분 서울 남산국악당에서 공연됐다. '서울무당춤'(위)과 '급제무'(아래). (사진=서울경기춤연구회)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이지연 기자] 서울경기춤연구회의 정기공연인 서울춤연구시리즈1 '묵은 조선의 새 향기'가 지난 11일 오후 7시 30분 서울 남산국악당에서 공연됐다. 

1938년 한성준과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의해 공연된 작품 중 일부를 '근거 있는 상상력'으로 재연한 무대로 한성준 탄생 150주년을 맞은 올해 더욱 의미가 깊은 공연이라는 평가다.

1938년 조선일보에 게재된 한성준과의 대담자료 중 "사방의 비웃음과 천대를 받으며 오늘날까지 걸어온 것이 조선예술의 험한 길"이라며 "조선의 고전노래와 춤의 묵은 화폭을 펼쳐볼 때 가장 통속적이면서도 고상한 예술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라는 구절을 핵심으로 공연이 펼쳐졌다.

첫 무대로 임윤수, 이동환의 학과 함께 윤종현이 선보이는 '신선무'가 시작됐다. 특히 예온 어린이무용단의 황재윤 어린이가 선녀역으로 특별출연해 무용극의 형태로 공연화한 한성준 작품의 특성을 볼 수 있는 무대였다. 

이어 한성준-강선영으로 이어지는 '승무'와 '바라무', 춘향이를 잡으러 가는 판소리 군노사령대목에서 착안해 안무화된 '군노사령무', 김미란의 고증으로 강선영무용단을 통해 계승된 '검무' 무대가 펼쳐졌다.

다음으로 무대에 오른 '서울무당춤'은 이번 공연의 핵심으로 꼽히는 작품으로 윤종현(서울경기춤연구회 회장)의 독무로 선보였다. 서울천신굿 중 천궁불사거리를 모티브로 구성된 이번 작품은 부정거리로 시작해 빠른 발놀림이 인상적인 디딤 사위까지 한국춤이 가지고 있는 절제된 흥과 신명을 온몸으로 표현하며 서울굿의 주요한 요점을 축약해 격 있는 움직임으로 무당춤을 선보였다. 

마지막 작품으로 옛 풍습인 삼일유가의 장면을 무용화한 '급제무'까지 선보이며 이번 공연의 막을 내렸다.

공연 중 유쾌하고 유익한 해설로 함께한 윤중강(국악평론가), 경기음악의 특성을 살려 격 있는 연주를 선보여준 유인상 음악감독과 '전통음악그룹 판'이 함께하며 더욱 풍성하게 완성도 있는 무대를 꾸몄다.

한편 ESG캠페인으로 진행한 이번 공연은 사회취약계층에게 VIP석을 선물하는 '골든티켓'프로젝트, 복지기관을 찾아가는 공연을 기획해 기업과 예술, 예술과 사회의 모범적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서울경기춤연구회는 13일 "서울춤연구시리즈를 통해 앞으로 기록으로만 존재하는 수많은 춤을 찾아 연구하고 무대화해 전통춤의 편향된 전승을 넘어 많은 춤을 알고 누리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지연 기자 shyeo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