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오래된 사건은 아무래도 이집트와 로마시대에 있었던 와인에 물을 타기 사건들일 것이다. 당시에는 알코올 도수를 잴 수도 없던 시대라 물을 타서 양을 늘려도 소비자들이 눈치를 챌 수가 없었다.
또 당시에는 와인의 알코올이 너무 높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물을 타서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시대이니 물을 타서 파는 사건이 많았다. 요즘같이 고객이 보는 앞에서 와인 병을 따는 것이 아니라 손님들 안 보는 곳에서 주인이 몰래 물을 타서 팔았다는 것이다.
옛날에 군대생활 할 때 경험한 일이다. 부대 PX 에 막걸리 차가 왔다 가면 PX 에 근무하는 사병이 몰래 막걸리 단지에 바케츠로 물을 부어넣고 휘휘 젓는 것을 본 일이 있다. 자고로 특히 술과 관련해서는 장난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생각된다.
애교로 봐 줄 수 있는 이러한 소규모의 장난이 아니고 좀 큰 사고를 친 사건들의 경우 국제적인 비난을 받게 된다. 그 중에서 최근에 터진 사고들을 몇 가지 알아보기로 한다.
1985년 오스트리아에서 와인에 사용될 수 없는 물질인 '디에칠렌글리콜' 이란 물질을 첨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서 유럽과 전 세계를 경악시킨 사건이 발생했다.
사건의 발단은 이렇다.
알다시피 포도는 재배하는 해에 따라서 일기가 좋은 해에는 포도가 잘 익어서 품질이 좋은 포도가 생산되고 작황이 나쁜 해에는 잘 익지 않은 포도가 생산되는 등 매년 포도의 작황이 다르다. 포도가 잘 익지 않고 품질이 떨어지면 이런 포도로 만든 와인은 당연히 품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작황이 나쁜 해이어서 주변 국가들에서는 낮은 등급의 와인을 많이 생산했는데 유독 오스트리아에서만 그 해에도 좋은 와인을 생산했다. 그러자 이웃 나라의 포도 재배 농민들이 "그 참 이상하다. 우리나라와 바로 이웃에 있고 또 우리하고 기후도 비슷했는데 어떻게 오스트리아에서는 저렇게 향이 좋은 와인을 생산할 수가 있었을까"하고 의심을 갖게 됐다.
국제 와인 시장에서 판매에 어려움을 받던 주변 국가들의 와인 회사들이 이해할 수 없는 이 사태를 규명하려고 와인을 분석해보니 놀랍게도 와인에는 있을 수 없는 물질인 '디에칠렌글리콜' 이 검출됐던 것이다.
이 '디에칠렌글리콜'이란 물질은 자동차 등에서 부동액으로 겨울철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물질은 약간 단맛이 있으며 특히 상당히 감미로운 향이 있는 물질이나 인체에는 아주 위험한 물질이다.
포도가 잘 익지를 못 하여서 양조한 와인의 향과 맛이 별로이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 포도주 공장들이 비밀리에 냉매로 사용되고 있는 '디에칠렌글리콜' 을 약간 섞어서 향이 좋고 맛이 부드러운 와인을 만들어서 판매하는 말도 되는 범죄를 저질렀던 것이다.
이 사실이 공표되니 그 동안 오스트리아 와인을 수입한 세계 각국들에서는 문제의 와인뿐만 아니라 오스트리아 와인 전체를 믿지 못하겠고 나왔다. 모든 오스트리아 와인을 반품하라고 강력하게 요구해 전 세계 와인 사회를 발칵 뒤흔드는 엄청난 사건으로 변했다.
이렇게 해서 와인의 판매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은 오스트리아 회사와 업계는 사건의 전말을 밝히고 일부 와인 공장에서만 있었던 일이라고 사과하는 등 사고를 무마하기에 전력을 다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 와인이 세계의 와인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를 회복하는데 여러 해가 걸렸다.
그러한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하고 이 와인을 수입해 판매했던 일본의 한 유명한 수입 회사는 일본의 와인 소비자들의 거친 항의와 손해 배상 등의 문제로 문을 닫기도 했다.
당시에 우리나라에서는 정식으로 와인을 수입하지 못하던 때라 알려지지 않고 지나간 일이었다.
이 오스트리아의 와인 스캔들은 세월이 지나도 기억 속에서 잘 지워지지 않고 와인 업계에서 무슨 일만 터지면 다시 생각나게 하는 사건이었다. 꼭 착오 없으시기를 바라는 것은 '오스트랄리아'가 아니라 '오스트리아' 라는 점이다.
김준철/ 제이씨 와인 스쿨 원장
데일리중앙 기자 webmaster@daili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