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22.76%·해외 –12.34%, 국내채권–5.56%·해외 –4.91%, 대체투자 8.94%
대체투자 확대와 달러 강세로 인한 환차익 통해 손실 폭을 축소했다는 설명
주식·채권시장 내린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금융시장 회복세로 수익률 청신호
[데일리중앙 송정은 기자]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는 2022년 말 기준 국민연금기금 적립금이 890조5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으며 이 기간 –8.22%의 수익률을 보였다고 2일 밝혔다. 지난해 한 해에만 73조원 넘는 투자 손실을 봤다는 얘기다.
지난해 수익률이 이처럼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통화긴축,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 경색 때문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대체투자 확대와 달러 강세로 인한 환차익을 통해 손실 폭을 축소했다는 게 공단의 설명이다.
공단은 주식과 채권시장이 모두 하락한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금융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국민연금기금 수익률에도 청신호가 켜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해 자산별 수익률(금액가중수익률 기준)은 국내주식 –22.76%, 해외주식 –12.34%, 국내채권–5.56%, 해외채권 –4.91%, 대체투자 8.94%로 잠정 집계됐다.
전통자산 수익률(시간가중수익률 기준)은 벤치마크(BM)를 웃돌았다.
벤치마크는 자산을 운용할 때 운용성과를 측정하는 기준수익률로 금액가중수익률이 아닌 시간가중수익률을 사용한다.
지난해 자산군별로 BM 대비 국내주식 0.47%포인트, 해외주식 0.15%포인트, 국내채권 0.04%포인트, 해외채권 0.88%포인트씩 초과 성과를 냈다.
세부적으로 보면 국내 및 해외주식은 인플레이션 심화에 따른 미 연준의 공격적 긴축 기조 및 전쟁 장기화로 국내·외 증시불안 요인이 지속돼 운용자산의 평가가치가 하락했다.
국내 및 해외채권은 인플레이션 압력과 통화 긴축기조 지속에 대한 경계감으로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채권 평가가치 하락)하며 수익률이 낮아졌다. 참고적으로 국고채(3년)는 연초 대비 193.0bp, 국고채(10년)는 41.7bp 상승했다. 미 기준금리 역시 연초 대비 4.25%p 올랐고 미국채(10년)는 236.5bp 상승했다. 1bp는 0.01%다.
대체투자자산은 부동산, 인프라 자산의 평가가치 상승과 실현이익, 원·달러 환율 상승 등으로 전통자산 대비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국민연금기금은 1988년 설치된 이후 노령·장애·사망에 대해 연금을 지급해 국민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투자 다변화, 신규자산 발굴, 우수한 투자기회 조기 확보 등을 수행해 왔다.
기금 설립 이래 누적 연환산 수익률은 5.11%이며 2022년 손실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5년간 총 151조원의 운용 수익을 거뒀다는 게 기금운용본부의 설명이다.
2022년은 주식과 채권시장이 동시에 하락한 이례적인 해다.
글로벌 공급망 혼란 및 전쟁 장기화로 원자재 가격 급등 등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서 미 연방준비제도(FED)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공격적인 통화긴축 기조를 이어가며 기준금리를 지속해서 인상했다.
통상 위험자산인 주식과 안전자산인 채권은 반대로 움직이며 서로 보완하는 경향이 있으나 지난해에는 주식과 채권이 동반 하락하는 기현상을 보였다. 주식·채권이 동시에 대폭 내린 것은 해외시장에선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 이후, 국내는 2001년 이후 처음이다.
해외 연기금들의 운용수익률도 글로벌 증시 급락 등의 영향으로 하락한 가운데 2022년 실적을 공시한 주요 연기금 중 국민연금의 성과는 상대적으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GPIF는 글로벌시장 대비 일본 채권과 주식 시장의 소폭 하락과 엔화 약세에 따른 엔화환산 평가익으로, 캐나다 CPPI는 월등히 높은 대체투자비중으로 수익률 내림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세계금융시장은 올해 들어 진정세를 보이며 주식 및 채권 등을 포함한 국민연금 전체 수익률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국민연금기금이 공시하는 수익률(잠정치)은 실현손실보다는 평가손실이 대부분으로 투자환경이 개선되면 평가손실 또한 회복될 수 있을 전망이다.
2023년 2월 중 국민연금기금의 금융부문 수익률은 5% 안팎(잠정)을 기록하며 총적립금 규모는 930조원대를 회복한 상태다.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지난해 대외 불확실성 확대로 주식과 채권시장이 모두 좋지 않은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했다"며 "2023년에는 금융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국민연금기금 수익률도 나아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송정은 기자 shyeol@daili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