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의 산사태 연구 사업에 웬 피부 미용 '뷰티 기업'?
상태바
산림청의 산사태 연구 사업에 웬 피부 미용 '뷰티 기업'?
  • 김용숙 기자
  • 승인 2024.10.16 18: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같은 대학 교수 기업 챙겨주기'로 전락한 산림청 연구 사업 비판 목소리
임호선 의원 "산림청 공공사업이 개인의 이익 위한 수단으로 전락" 비판
산림청 "등록만 (뷰티)로 했을 뿐 미생물(방성균) 연구 경험이 풍부하다"
copyright 데일리중앙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김용숙 기자] 산림청이 올해 신규로 진행하는 '산사태 대응 연구 사업'의 주체로 피부 미용 전문 뷰티 기업을 선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산사태 대응과 피부 미용 전문 기업이 무슨 관계가 있느냐는 비판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업 참여 대학이 신청 조건을 맞추기 위해 '같은 대학 소속 교수의 기업'을 끼워 넣은 것인데 산림청이 심의 과정에서 이를 거르지 못했다는 것이다. 

국민 혈세로 진행되는 산림청의 신규 사업이 사실상 대학의 '교수 기업 챙겨주기' 도구로 전락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산림청은 올해 초 '산림산업 현장 맞춤형 인재양성 사업'의 신규 과제 6개(조림·산불·산사태·산림병해충·목재산업·단기소득 임산물)를 선정하고  총 220억원의 정부 출연금 투입을 결정했다. 이에 서울대, 국민대, 경북대, 충남대 등 11개 대학을 선정했고 현재 사업이 진행 중이다.

국회 농해수위 민주당 임호선 의원은 16일 "산림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6개의 과제 중 3개의 과제(산사태·산림병해충·목재산업)에 선정된 거버넌스가 연구 전문성과 수행 능력이 떨어지는 '같은 대학 소속 교수의 기업'을 포함하고도 선정된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산사태 통합관리 전문인력 양성 센터' 과제는 국민대와 '케이바이오랩'이 함께 사업을 수행한다. '케이바이오랩'은 같은 대학 △△학과 A교수가 대표로 있는 중소기업이다. 

이 회사는 'VSP-COMPLEX(피부건강 개선에 도움을 주는 자연 유래 소재), Guard-K complex(반려동물 항균소재, 화장품 보존재 등 활용)' 등 피부 미용 관련된 기술을 대표 특허로 갖고 있고 스킨케어(피부 미용) 제품도 출시한 사실상 '뷰티 기업'이다. 

'산림병해충 전과정 대응 현장 맞춤형 인재양성 사업단' 과제는 경북대와 '산림환경공간기술연구소'가 함께 사업을 수행한다. '산림환경공간기술연구소'는 같은 대학 ○○학과 B강사가 대표로 있는 기업으로 '기타 기술 및 직원 훈련학원' 업종으로 등록돼 있으며 사원은 8명이다.

'목조건축기반 목재산업분야 임무지향형 전문인력 양성사업' 과제는 충남대와 '우디즘목재이용연구소'가 함께 사업을 수행한다. '우디즘목재이용연구소' 또한 같은 대학 □□학과 C교수가 소장으로 있는 사단법인이다.

산림청은 사업 참여 대상 심의 과정에서 참여 기업의 전문성을 검토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임호선 의원은 지적했다.

임 의원은 "산림청이 산림 산업 인재양성과 취업 연계를 위한 중요한 과제를 추진하면서 대학 측이 소속 교수의 기업을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신청 요건을 맞추는 행태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공공 사업이 특정 개인의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 

임 의원은 "사업의 취지와 목표가 훼손되지 않도록 사업의 수행 대상에 대한 재검토와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산림청은 적극 해명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데일리중앙>과 통화에서 '뷰티 기업'이 어떻게 '산사태 대응 연구사업'에 참여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 업체가 외부에 등록을 그렇게(뷰티) 했을 뿐이지 미생물이라든지, 방성균 같은 그런 연구 경험이 풍부하다"고 말했다.

대표성만  '화장품 등' 이렇게 등록이 돼 있을 뿐 실제로 그 안의 내용은 미생물을 연구하는 분들이고 그런 기업이라는 말이다.

그는 "산이 훼손된  붉은 흙이 빨리 복구되려면 나무도 심어야 하지만 그 밑에 미생물들도 빨리 회복이 돼야 된다"며 "그래서 미생물 분야 연구 경험이 풍부한 그 기업을 참여시키려고 했던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다른 사업들도 비슷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선정된 대학과 같은 대학 교수 기업이 컨소시엄을 이룬 것은 사업 진행 편리성과 컨소시엄 구성의 용이성 때문이라고 했다.

김용숙 기자 shyeo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