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승 의원 , 동물에게 법적 지위 부여 법안 발의
상태바
박희승 의원 , 동물에게 법적 지위 부여 법안 발의
  • 석희열 기자
  • 승인 2024.06.11 14: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법' 개정안, '민사집행법' 개정안 대발의... 개·고양이 등 반려동물 압류 금지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 국민인식 반영한 동물권 신장 및 채무자 권리 보호 필요"
박희승 민주당 국회의원. copyright 데일리중앙
박희승 민주당 국회의원.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석희열 기자] 동물에게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법안이 국회에 제출됐다. 이에 따라 개·고양이 등 반려동물에 대한 압류가 금지될 전망이다.

박희승 민주당 국회의원(남원장수임실순창)은 "'동물의 비물건화'와 '반려동물 압류 금지'를 통해 세계적 추세에 부합하는 동물권 신장 및 채무자의 최소한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민법' 개정안과 '민사집행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11일 밝혔다.

국내 반려동물 양육 인구가 1500만명에 이르는 현실을 반영한 법안이다.

박 의원은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라며 "생명을 경시하는 동물 학대에 경종을 울리고 국민의 달라진 인식에 부합하는 동물권 보호로 나아가야 한다"고 입법 취지를 말했다. 

먼저 '민법' 개정안은 ▶동물이 물건이 아님을 법률에 명확히 규정하고 ▶타인의 반려동물을 상해한 자는 치료 비용이 동물의 가치를 초과할 때에도 치료 행위의 필요성 등을 고려해 합리적인 범위 안에서 배상을 의무화하는 등 동물에 대한 손해배상 특칙을 명시했다.

'민사집행법' 개정안은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과 그 밖에 영리 목적을 위한 보유가 아닌 동물의 압류를 금지하는 내용을 담았다.

현행법상 동물은 여전히 물건으로 정의돼 있어 다른 사람의 반려동물을 다치게 한 경우 형법상 재물손괴죄로 처벌한다. 보험금을 산정할 때도 대물로 배상받는 등 사회적 환경과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변화를 법이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뿐만 아니라 동물은 물건에 해당하므로 반려동물 역시 강제집행의 대상이 된다.

박희승 의원은 "반려동물은 정서적 가치와 달리 재산적 가치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압류의 실효성도 낮다"며 "법이 시대적 변화를 반영해 생명을 존중하고 더불어 사회적 약자의 존엄성을 지켜나가는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석희열 기자 shyeo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