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이재명과 윤석열의 딜레마

이병익(칼럼니스트)

2021-11-23     이병익 기자
이재명

여, 야의 대선 캠프와 각 당의 지도부는 요즘 머리 아픈 일들이 참 많을 것 같다. 이재명 후보의 대선 행보와 윤석열 후보의 대선 행보가 순탄치 않아 보인다. 후보와 당이 하나 된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후보의 뜻을 받쳐주어야 할 당이 후보의 생각을 받쳐주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민주당을 보면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이 반등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이 후보는 당의 역동성이 없음을 비판하기도 했다. 비대화 되고 비효율적인 선대위를 개편할 생각이 있는 듯하다.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자신의 의도대로 선대위를 구성할 자생력을 잃은 듯하다. 정치 초보의 한계가 있으니 원로들과 당 중진들을 배제할 수 없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지금 지지율이 높은 것에 자신감이 붙어 있겠지만 지지율이라는 것이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겸손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후보가 원하는 인적 구성을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국민의 지지세가 국민의힘을 받쳐주고 있는 시점에 혁신적인 구상을 해야 하는데 매머드급의 선대위를 구상하는 것은 좋은 전략이 아니다. 상대적으로 지지율이 낮은 민주당은 메머드급의 선대위를 혁파하려는 움직임이 있는데 반대로 선대위의 덩치를 키우려는 전략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재명 후보는 좌 편향의 정치적 노선을 수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도층을 잡지 못하면 정권 재창출이 멀어진다는 것을 인식하고 우클릭의 행보를 하려고 한다. 정권 재창출을 넘어 실질적인 정권교체라고 말한다. 이재명의 민주당을 만들겠다는 말도 한다. 이런 움직임은 민주당의 행태에 불만이 있다는 표현으로 보인다. 이재명 후보라면 당연히 이런 인식을 했을 것이다. 이대로라면 이재명 대통령은 물 건너간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 이런 판에 민주당이 열린민주당과 합당을 추진한다고 한다. 이것은 이재명 후보의 뜻이 결코 아닐 것으로 본다. 조국의 강을 건너야 한다고 말하는 조응천 의원을 선대위 요직에 넣은 것은 그렇게 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는데 조국을 엄호하고 조국 수호에 앞장 선 의원들이 주축인 열린민주당과 함께 간다는 것은 선거를 포기한다는 말과 같다고 본다. 부동산 투기자로 각인된 김의겸 의원도 열린민주당 소속인데 합당해서 득이 있을지 모르겠다.

국민의힘이 선대위 구성에 파열음이 나오는 이유는 대선 전략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김종인 위원장의 혁신, 실무형 선대위 구상과 윤석열 후보의 통합, 확대형 선대위 구상이 부딪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적인 조화를 이루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지만 두 사람의 주장이 좁혀지지 않을 때는 후보가 결정하는 것이 상식에 맞다. 김종인 위원장이 떠나면 국민의힘은 상당한 후휴증이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국민의힘 선대위는 전, 현직 다선의원들을 가능하면 배제한 슬림형 실무형이 효율적이라고 말한 바 있다.

후보자의 당 장악이 독이 될지 득이 될지는 후보자의 지지율과 연동이 되어있다. 후보자의 지지율이 높아가면 후보의 당 장악은 자연스럽게 진행되겠지만 낮은 지지율로 당 장악은 비판에 쌓일 수 있다. 현재는 이재명 후보자의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보이지만 이 후보의 대선 행보가 국민 속으로 파고들면 역전도 충분히 가능하다. 중도로 나가려고 작심한 윤석열 후보에 비해서 이재명 후보의 행동이 조금 늦은 감이 있다. 이재명 후보와 윤석열 후보의 중도 표 잡기가 이번 선거의 핵심이다. 이러한데 당 중진 의원들의 선대위에서 역할이 무슨 큰 의미가 있을까 싶다. 이념에 경도되지 않는 전문가를 선대위에 넣는 것이 훨씬 나을 것 같다.

정부, 여당에 실망한 사람들은 절대 여당 후보에게 표를 주지 않는다. 야당을 싫어하는 사람들은 야당에 표를 줄 리가 없다. 그러므로 이번 선거의 키는 중도층의 투표 성향에 있는 것이다. 여론조사에 의하면 지금 중도층은 정부, 여당에 등을 돌렸다는 결과가 나와 있다. 이것을 깨려면 이재명 후보는 당연히 다른 행보를 보여야 한다. 조국 수호대를 끌어안고 갈 생각은 버리고 문 정권과 각을 세울 때는 확실한 대안으로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정책과 비젼을 보여줘야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