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금호타이어 광주공장과 곡성공장의 산업 재해율은 각각 5.73%, 5.11%다. 같은 해 한국타이어 금산공장과 대전공장의 재해율은 각각 0.99%, 0.74%.
타이어를 생산하는 방식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상식적으로 규모면에서 금호타이어보다 2배 이상 큰 한국타이어가 산재 발생건도 많을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한국타이어는 오히려 금호타이어 산재 발생건수의 5분의 1도 되지 않는다.
왜 그럴까.
국회 환노위 새정치연합 한정애 의원과 민주노총 금속노조는 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한국타이어가 산재를 은폐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고용노동부의 특별근로감독을 촉구했다.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한국타이어에서 일하다 아프거나 다쳐도 산재를 신청할 수 없는 구조를 고발했다.
이들은 한국타이어 회사 쪽이 △'산재를 신청하면 인사고과 D등급을 주겠다'며 인사상 불이익을 예고하거나 △'근골격계로 산재 신청하면 출근하지 마라'고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등의 사례를 소개했다.
노동자들은 한국타이어의 재해자 복귀 프로그램도 문제 삼았다.
금속노조는 "한국타이어 대전공장은 재해 부위와 상관없이 체력장을 통과해야만 업무 복귀를 할 수 있는 웃지 못할 풍경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산재자들은 또 호봉 누락에 따른 임금 손실 피해도 입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금속노조 대전충남지부 김정태 지부장은 "현재까지 한국타이어의 산재 은폐를 수집한 건수만 50건이 넘는다"고 밝혔다.
김 지부장은 "오늘의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하여 금속노조는 한국타이어 사업장 내 만연된 산재은폐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소고발을 준비 중에 있다"고 밝히고 노동부의 특별근로감독을 공식 요청했다.
이에 대해 한국타이어 쪽은 적극 해명했다.
한국타이어 관계자는 <데일리중앙>과 통화에서 관련 의혹에 대한 입장을 묻자 "사실무근"이라며 제기된 의혹을 강하게 일축했다.
이 관계자는 "한국타이어는 산재가 발생하면 법적 기준과 규정에 따라 처리하고 있다"며 "산재를 숨기거나 산재를 이유를 인사상 불이익을 주는 일은 전혀 없다"고 밝혔다.
또 재해자 복귀 프로그램 '체력장' 논란 관련해 "재해를 입은 근로자가 불완전한 상태로 업무에 복귀하면 더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 병원 진단과 함께 근로자의 지구력이나 허리근육 등 근무에 지장이 없는 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체력장과는 전혀 성격이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몸이 안 좋은 상태로 일을 할 수는 없지 않느냐"며 "복귀 프로그램은 근로자를 보호하는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석희열 기자 shyeol@dailiang.co.kr